이탈리아어 Capriccio 의 발음은 카프리초에 가깝지만 국어 사전에 카프리치오라는 단어가 외래어로 등재되어 있다.


메트와 슈트라우스라니 잘 안 어울린다. 더 찾아봐야 알 것 같지만 메트에서 나온 슈트라우스 영상물을 보는 건 이번이 처음인 것 같다.

캐스팅 중에서는 여백작 역의 르네 플레밍과 클래롱 역의 사라 코놀리만 들어본 적이 있었다. 나중에 찾아보니 다른 가수들도 다른 영상물에서 조연으로 본 사람들이다. 워낙 플레밍의 존재가 압도적이다보니 표지에도 가수 중엔 르네 플레밍 이름만 나와있다.

당연한 거지만 이 오페라에서 Countess는 백작 부인이 아니라 여백작이다. 하겐과 군터의 관계를 '이복 형제'라고 부르는 것 만큼이나 잘못 쓰이는 호칭이다.

표지만 보기에는 르네 플레밍만 믿고 가는 공연 같다. 지휘자 앤드류 데이비스 역시 어느 정도 유명한 지휘자라는 건 알고 있지만 그렇다고 슈퍼 스타는 아니니까. 


하지만 생각 외의 호연이었다. 카프리치오는 최근 나온 빈 슈타츠오퍼 블루레이만 본 적이 있는데 기억 상으로 연주가 살짝 지저분한 인상이었다. 오래된 기억이고 확인도 안하고 쓰는 거니 틀릴 확률이 높지만, 녹음 상태가 이상했던지 중간에 거슬리는 부분들이 있었던 것 같다. 음악이 익숙해서 그런 것도 있겠지만 확실히 안정적이고 깔끔하다는 것은 알 수 있었다. 틸레만 처럼 부풀어오르는 느낌은 아니지만 잘 정돈된 느낌의 반주였다.

전체적으로 대사 전달 위주의 앙상블 장면이 많고 기교적으로 까다로운 장면이 많지 않아서 가수들의 부족함은 전혀 느끼지 못했다. 음악적으로 중요한 장면인 라 로쉬의 열변이나 여백작의 마지막 독백 장면은 아주 훌륭했다. 베이스 피터 로즈의 음색은 굉장히 안정돼있어서 비교적 긴 노래를 불러도 거슬리지 않는다. 플레밍 역시 그다지 좋아하지 않은 소프라노였는데 왜 슈트라우스 오페라에서 그렇게 대단한 평가를 받는지 느낄 수 있었다. 비브라토가 심해 감정 표현이 너무 과장돼있다는 인상을 받았었는데 슈트라우스는 어떻게 대사를 요리해야하는지 잘 보여주었다. 오네긴을 볼 때 느낀 오버한다는 느낌을 단 한순간도 받지 못했다. 쓰고 나니 참 피상적인 후기다. 


슈트라우스의 모든 작품이 그렇지만 카프리치오는 대본이 참 훌륭하다. 오페라에 대한 오페라, 오페라를 작곡하는 오페라, 그러니까 메타-오페라인 셈이다. 오페라 작곡가들이 항상 고민해왔던 바를 아주 훌륭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대사를 따라가는 것 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로운 작품이다. 거기다 극장 감독인 라 로쉬를 넣으면서 실제로 극장에서 살아 움직이는 작품을 만드는 것 역시 중요한 예술이라는 것을 빼놓지 않는다. 극장 감독이 작곡가나 작가 만큼이나 중요한 인물로 자리잡는다는 게 마치 요즘의 레지테아터를 보는 것 같기도 하다.

최근 내 머리 속에서 계속 맴도는 고민은 나는 어째서 오페라를 보는가이다. 오페라라는 예술 형식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특성은 무엇일까 라는 질문. 사실 쉽게 답하려면 간단하게 대답할 수 있는 것이지만 그래도 뭔가 대단한 답을 찾고 싶은 욕심이 있다. 카프리치오가 흥미로운 건 극중 인물들이 치열하게 토론하는 주제가 나의 질문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그들의 열변이 마음 속으로 쉽게 들어오기 때문이다.

블로그 이미지

D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