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렌치스의 라모 음반은 내게 특별히 기억에 남는다. 내가 쿠렌치스 연주에 빠져들기 시작했을 때 처음 신보로 나온 게 이 라모 음반이었기 때문에 이 음반의 발매날을 목 빠지게 기다렸던 기억이 있다. 선곡도 마음에 들고 쿠렌치스의 매력이 한껏 묻어 나오는 음반이라 쿠렌치스의 연주 중에서도 가장 자주 들었던 음반이었다.

라모를 처음 알게된 것은 2009년에 톤 코프만이 암스테르담 바로크 오케스트라와 내한하여 연주한 다르다누스 모음곡 덕택이었다. 10년도 지난 공연이지만 유독 선명하게 기억 속에 남는다. 이 공연을 예습하며 듣게 된 하이든 교향곡 83번과 다르다누스 모음곡은 특별히 더 좋아하는 곡이 되었다. 2009년이 학교 다니며 학업적으로 가장 큰 벽에 부딪쳤을 때였는데 하필 그런 순간에 공부하며 들었던 곡이라 더 그럴지도 모르겠다. 그 뒤로 2013년에 민코프스키의 상상교향곡 내한공연 덕택에 본격적인 오페라덕질을 시작하기 전부터 라모의 음악과 더 친숙해질 수 있었다. 그런 뒤에 이 쿠렌치스의 라모 음반을 들었으니 내가 이 음반에 푹 빠진 건 당연한 일이었다. 

 

바덴바덴 축제극장을 처음 알게된 건 그 유명한 갈라 콘서트들 때문이었다. 네트렙코-가랑차-바르가스-테지에 조합의 공연은 수업 중에도 자주 써먹게 되는 영상이었고 최근에 나온 카우프만-테어벨-하르테로스-구바노바 갈라 역시 별들의 조합이다. 래틀이 베를린필과 함께 가서 1년에 한 편 씩 오페라를 올린 곳이기도 하고 네제세겡이 모차르트 오페라를 매년 한편 씩 올린 곳이기도 하다. 2014년에 바이로이트 일정을 짤 때 조금 무리하면 담라우가 나오고 네제세겡이 지휘하는 후궁탈출을 볼 수도 있었는데 도저히 무리인 것 같아서 포기했다. 그 뒤로 이 곳의 공연 일정을 찾아볼 일은 없었다.

잊고 있던 바덴바덴에 대해 이야기를 해준 사람은 1년 전 슈투트가르트에서 쿠렌치스 공연을 본 뒤 사인을 받기 위해 백스테이지 출입구에서 기다리던 중 만난 한 아저씨였다. 예전부터 이 지역은 러시아 귀족들이 온천 휴양을 오던 지역이라 요즘에도 러시아 사람들이 많이 살고, 그런 사람들이 후원을 많이 하기 때문에 요즘에도 러시아 연주자들을 자주 부르는 편이라고 했다. 그래서인지 게르기예프도 상당히 자주 오는 편이었다. 

 

이 날 만하임에 사는 친한 형도 함께 공연을 보기로 했기 때문에 같이 돌아가기로 하고 숙소는 만하임에 잡았다. 때문에 짐은 바덴바덴역 보관함에 넣어두고 시내로 들어왔다. 

공연 전에 잠을 자는 중요했는데, 바덴바덴에서 유명한 온천 하나에 수면실이 있기 때문에 온천을 즐기고 꿀잠을 있다는 정보를 얻었다. 17 코스로 돼있는 프리드리히 온천인데 가격도 크게 비싸지 않았다. 비싼 휴양도지의 대표 휴양코스가 이 정도 가격밖에 안 되다니, 혜자 가격이라고 좋아하며 들어갔다. 하지만 역시 이유 없이 싼 가격은 없었다. 17개 코스가 있는 시설이라고 하지만 그저 여러 종류의 탕과 사우나를 왔다갔다 옮겨 다닐 뿐이었다. 심지어 그 사이에 있는 샤워도 각각 코스라고 개수를 세어놓은 거다. 우리나라에 많이 있는 큰 찜질방 정도만 돼도 온탕 냉탕 열탕 이벤트탕 무슨 사우나 저런 사우나 하면 여기보다 많을 것 같다. 아 참고로 보디 크림 바르는 곳도 코스 1개로 센 거였다. 

하지만 수면실 하나는 인정해줄 수밖에 없었다. 찜질방 수면실의 그 좁고 탁하고 사람 가득찬 곳이 아니라 판테온 마냥 거대한 돔 천장이 있는 곳에 마사지 베드 정도 되는 침대가 있ㅇ고 얇은 타월들을 덮어준다. 덕분에 꿀잠 잤다.

 

경건한 마음으로 목욕재계를 끝마친 뒤 간단히 저녁을 먹고 축제극장으로 향했다.

우물쭈물하다가 얼빠석을 구하지 못하고 꽤 뒷자리를 예매할 수밖에 없었다. 막상 홀 안에 들어가자 내가 큰 실수를 했구나 느꼈다. 그냥 가까이 못본다 수준이 아니라 음향을 걱정해야할 수준이었다. 독일에 있는 일반적인 극장들과 달리 바덴바덴 축제극장은 슈박스 형태도, 말발굽 형태도 아니다. 예당처럼 부채꼴은 아니고, 엘지 아트센터를 양옆으로 길쭉하게 만든 느낌이었다. 무대와 무대 위에 세워진 음향판의 모습도 딱 엘아센과 닮았다. 객석 쪽은 딱 봐도 잔향 별로 없을 것 처럼 생겼다. 엘지아트센터가 1100석인데 바덴바덴은 그 느낌으로 2500석이니 대충 감이 오실 테다. 유럽에 이런 흉악한 콘서트홀이 있나 싶은데 가장 먼저 떠오른게 잘츠부르크 축제극장이다. 잘츠부르크 축제극장은 항상 2층 뒤쪽에 앉아서 바덴바덴 보다도 크게 느껴졌는데, 좌석수로 2100석 정도이니 바덴바덴이 더 큰 편이다.

이런 홀에서 시대연주로 라모를 듣는다는 건 참 어려운 일이었다. 특히나 현악기의 어택을 날카롭게 잡는 쿠렌치스의 녹음에 익숙해져있다면 아쉽지 않을 도리가 없다. 여기에 무지카 에테르나의 합주력 역시 내가 생각하는 베스트가 아니었다. 이것 보다 좀 더 앙상블의 나사가 나사가  특히나 막간에 악장과 플루트, 콘티누오 정도가 실내악 처럼 연주하는 부분은 음반에 없던 부분이라 신선하긴 했지만 뭔가 긴장감이 많이 부족한 게 치열하게 준비한 느낌은 아니었다.

 

내가 이렇게 배부른 소리를 할 수 있는 건 나도 쿠렌치스를 이미 네 번이나 봤기 때문이다. 거기에 가까이서라도 봤으면 빠심으로 커버가 됐겠지만 지금껏 내가 본 공연 중 가장 멀리서 본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거리가 있었다. 쿠렌치스의 라모를 직접 듣는다는 흥분 만큼이나 기대한 소리에 못 미친다는 아쉬움이 들었다. 

북을 메고 있는 쿠렌치스

물론 음반으로 듣는 것보다 즐거움이 큰 장면들도 많았다. <조로아스터> 서곡 처럼 빠르고 격렬한 곡들의 에너지는 기대에 조금 못 미쳤지만 마지막 곡인 <카스토르와 폴룩>의 아리아에서 보여준 섬세한 분위기는 평화로움을 아득히 건너 다른 세상으로 이동한 듯한 느낌을 주었다. 쿠렌치스가 직접 북을 메고 치거나 단원들이 <레 보레아드>의 콩트라당스를 연주하며 퇴장하는 등 공연을 공연답게 만드는 장치들이 음반과는 분명한 차별성을 뒀다. 앵콜로는 워낙 연주효과가 좋은 두 작품인 <우아한 인도인>의 야만인의 춤이나 <플라테>의 폭풍우 장면을 빼놓았는데 두 곡이 언제 나오나 목빠지게 기다리다 들을 수 있었다. 합창단이 등장하는 유일한 곡이다보니 앵콜 중 합창단이 객석 쪽에서 입장해 노래하는 것으로 처리했다.

 

공연이 아쉬웠던 게 순전히 음향 탓인가, 그렇다면 앞으로 이 곳에서 연달아 볼 공연들도 이렇게 실망하게 될까 걱정이 많아지게 됐다. 뒤이어 쓸 후기에 나오겠지만 그것은 기우였다. 음향도 음향이었지만 최근 무지카 에테르나가 상트 페테르부르크로 본거지를 옮기기로 하면서 단원 교체가 꽤 있었고 라모 레퍼토리에 익숙하지 않은 단원들이 꽤 많았나 보다. 여기에 투어 프로그램이 레퀴엠 등 합창 레퍼토리에 집중돼있고 라모는 바덴바덴에서만 하기로 했기에 연습량이 부족할 수밖에 없었던 걸로 추정한다. 

쿠렌치스에게 꽃을 전달해주려고 하는 여성 팬들이 커튼콜 때 무대 앞으로 가서 기다리고 있는 모습.

만하임으로 돌아가기로 했기 때문에 사인은 받지 못하고 앵콜이 끝나고 곧바로 나와 택시를 타고 기차역으로 돌아갔다. 할로윈이어서인지 늦은 시간임에도 기차에는 분장을 한 젊은 사람들이 많았다.

블로그 이미지

Da.

,